2025 : 초간단 노후대비, 3단계(feat. 두둥)

적금, 연금, 투자 비중 등을 현실적으로 구성해두었고, 소득이 크지 않아도 가능한 플랜이에요.
⸻
[초간단 노후대비]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은 3단계 플랜
“노후 준비는 빠를수록 좋다.”
그런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을 위해,
월급에서 몇 만 원씩만 떼도 가능한 현실적인 전략을 공유합니다.
⸻
✅ 1단계: 기본 노후 안전망 확보 (국민연금 + 개인연금)
1. 국민연금은 무조건 꾸준히 납부!
• 매달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국민연금은 국가가 보장하는 최소한의 노후 수입
• 10년 이상 납부하면 연금 수령 가능, 20년 이상이면 더 유리함
• 중도 해지 X → 꼭 유지!
2. 개인연금 (연금저축 or IRP) 시작하기
• 추천: 연금저축펀드
• 장점:
• 매년 세액공제(최대 16.5%, 최대 66만 원 돌려받음)
• 55세 이후 연금처럼 수령 가능
• 시작 금액: 월 10~20만 원부터 가능
Tip: 연금저축펀드는 은행보다 증권사 앱(예: 미래에셋, 삼성증권 등)에서 가입하면 수익률이 훨씬 좋습니다.
⸻
✅ 2단계: 적금 + 비상금 계좌 만들기
1. 비상금 통장부터! (생활 3~6개월치)
• 갑작스런 병원비, 실직 등에 대비
• 추천 은행:
• 토스 CMA (수시 입출금 + 이자)
•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
2. 적금으로 매달 일정 금액 저축
• 목표: 단기 목표용 자금 확보 (예: 전세금, 부모님 효도자금 등)
• 추천 적금 상품 (2025년 기준 금리 높은 은행):
• 케이뱅크 자유적금
• 하나은행 청년우대적금
• NH농협 올원 적금
월 10만 원씩 23개 돌려도 부담 적고, 12년 뒤 목돈 가능
⸻
✅ 3단계: 소액 투자로 수익률 높이기
1. 소액 주식 ETF 투자 (비과세 활용)
• 추천 계좌: ISA or 연금저축펀드 (비과세 혜택)
• ETF 예시:
• KODEX 200 (국내 대기업 종합)
• TIGER 미국S&P500 (미국 주식 지수 추종)
• TIGER 리츠부동산 ETF (배당 수익용)
매달 5만 원씩 자동이체만 걸어도 OK
2. 소득 수준에 맞게 비율 조절

✅ 정리: 현실적인 노후준비 루틴
1. 국민연금은 기본!
2. 연금저축펀드로 세금 돌려받기 + 연금 받기
3. 비상금 통장 & 적금으로 생활 안정
4. ETF 등으로 수익률도 챙기기
⸻
노후는 돈 많은 사람만 준비하는 게 아니라, 일찍 시작한 사람이 준비 잘하는 겁니다.
오늘 시작하는 월 10만 원이 10년 후 여러분의 든든한 노후가 됩니다. 우리 모두 화이팅!